야구 유격수 위치와 역할, 왜 그렇게 배치되는지

반응형

야구 해설에서 ‘3유간 안타’라는 표현을 자주 듣는데, 그렇다면 ‘2유간’이나 ‘12간’도 있는 건가요? 또, 유격수는 왜 1루수와 2루수 사이가 아닌 2루수와 3루수 사이에 위치해 있나요? 혹시 12간에 유격수를 배치하는 경우도 있나요? 그리고 유격수는 타격보다 수비 능력이 더 중요한 포지션인가요?

야구 유격수 위치와 역할, 왜 그렇게 배치되는지

야구 유격수 위치와 역할, 왜 그렇게 배치되는지

야구 경기를 보다 보면 해설위원들이 '타구가 3유간을 뚫고 안타가 됩니다!' 같은 이야기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3유간'이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그렇다면 '1유간', '2유간' 같은 곳도 있는지 궁금해지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격수라는 수비수는 왜 그 자리에 서 있는지, 타격과 수비 중 어떤 능력이 더 중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간'은 내야수들 사이의 공간을 말합니다

야구에서 '간(間)'이라는 표현은 내야수들 사이에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이렇게 네 명의 내야수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수비를 하는데요. 이 선수들 사이에 타구가 빠져나가는 경우를 이야기할 때 '간'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야구 내야에는 다음과 같은 '간'이 있습니다.

  • 12간: 1루수와 2루수 사이 공간을 말합니다. '1-2루 간'이라고도 합니다.
  • 2유간: 2루수와 유격수 사이 공간을 말합니다. '2루-유격수 간' 또는 '우중간'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2루수와 유격수 사이를 '2유간'이라고 부르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제가 알고 있습니다.)
  • 3유간: 3루수와 유격수 사이 공간을 말합니다. '3루-유격수 간'이라고도 합니다.

'3유간 안타'는 바로 3루수와 유격수 사이의 공간으로 타구가 빠져나가서 안타가 된 것을 의미합니다. '12간 안타'는 1루수와 2루수 사이로 빠져나간 안타를 말하고요.

유격수는 왜 3루와 2루 사이에 있나요?

야구 포지션을 보면 유격수(Shortstop)는 보통 2루수와 3루수 사이, 2루 베이스 근처에 위치합니다. 왜 유격수는 1루와 2루 사이가 아닌 2루와 3루 사이에 서 있는 걸까요?

가장 큰 이유는 '타구의 방향' 때문입니다. 야구에는 오른손으로 치는 우타자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우타자가 공을 치면 타구는 보통 당겨치는 방향인 3루수 쪽이나 유격수 쪽으로 많이 날아갑니다. 즉, 우타자가 친 타구의 빈도가 가장 많이 나오는 구간이 바로 '3유간'입니다. 그래서 가장 넓고 타구가 많이 오는 이 3유간을 수비하기 위해 유격수들이 그곳에 서 있는 것입니다.

물론 왼손으로 치는 좌타자가 치면 타구가 1루수나 2루수 쪽, 즉 12간으로 많이 날아가겠죠. 하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 우타자가 많기 때문에 유격수의 기본 위치는 2루와 3루 사이가 되는 것입니다.

수비 시프트에 따라 유격수 위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최근 야구에서는 상대 타자의 특성에 맞춰 수비수 위치를 특별하게 배치하는 '수비 시프트(Shift)'를 자주 사용합니다. 이러한 수비 시프트에 따라 유격수의 위치가 평소와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타자가 우측으로 당겨치는 타구를 많이 만드는 성향이라면, 수비 시프트를 통해 2루수와 유격수가 모두 1루수 옆이나 2루 베이스 우측으로 치우쳐서 서 있는 경우도 간혹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특별한 작전이고, 기본적으로 유격수는 2루와 3루 사이를 지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유격수와 포수는 '수비 능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야구 포지션 중에서 유격수와 포수는 '수비 능력'이 가장 중요한 포지션으로 꼽힙니다. 유격수 위치로 날아오는 타구는 빠르고 불규칙한 경우가 많아서 뛰어난 순발력, 민첩성, 정확한 송구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내야 전반의 수비를 조율하고 리드하는 역할도 수행해야 합니다.

그래서 야구계에서는 유격수와 포수 포지션은 타격 능력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수비 능력이 부족하면 아예 다른 포지션으로 변경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 이종범 선수가 일본 진출 후 외야수로 포지션을 바꾼 것이나, 강정호 선수가 메이저리그 진출 후 3루수로 변경한 것도 유격수 수비에 대한 평가나 팀 사정에 따라 포지션이 바뀐 예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유격수에게는 타격보다 수비가 훨씬 중요하게 여겨진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제 야구 중계를 보실 때 '3유간 안타'나 유격수의 움직임을 더 재미있게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야구 포지션이나 수비에 대해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거나, 오늘 이야기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이 있다면 아래 댓글로 편하게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주세요. 다른 야구 팬분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면 더 즐거울 것 같습니다! 이 글이 야구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야구 좋아하시는 친구나 지인분들에게도 공유해 주세요!

'3유간 안타'라는 표현이나 유격수 위치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야구 해설에서 '3유간 안타'라고 할 때 '유간'이 무슨 뜻인가요?
야구에서 '간(間)'이라는 표현은 내야수들(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사이에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3유간'은 3루수와 유격수 사이 공간을 말합니다.
'3유간' 외에 '12간'이나 '2유간' 같은 곳도 실제로 사용되는 표현인가요?
네, 3유간 외에 1루수와 2루수 사이 공간은 '12간'이라고 자주 표현합니다. 2루수와 유격수 사이 공간은 '2유간'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흔치는 않지만, '2루-유격수 간'이나 '우중간'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유격수(Shortstop)는 왜 보통 1루수와 2루수 사이가 아닌 2루수와 3루수 사이에 위치해 있나요?
오른손으로 치는 우타자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우타자가 친 타구가 가장 많이 날아오는 곳이 3유간입니다. 그래서 가장 넓고 타구 빈도가 높은 3유간을 수비하기 위해 유격수가 2루와 3루 사이에 주로 위치하는 것입니다.
야구 수비에서 '수비 시프트(Shift)'는 무엇을 말하나요?
수비 시프트는 상대 타자의 타격 성향에 맞춰 내야수나 외야수들의 수비 위치를 평소와 다르게 특별하게 배치하는 작전입니다. 특정 방향으로 타구를 많이 보내는 타자를 상대할 때 사용합니다. 제가 이해한 수비 시프트의 의미입니다.
유격수는 타격 능력과 수비 능력 중에서 어떤 것이 더 중요하게 평가되는 포지션인가요?
야구 포지션 중에서 유격수는 포수와 함께 수비 능력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는 포지션입니다. 타격 능력이 아무리 좋아도 수비가 안 되면 다른 포지션으로 옮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격수 위치로 날아오는 타구가 왜 수비하기 어렵다고 이야기하나요?
유격수 위치로 오는 타구는 보통 타자가 강하게 당겨친 빠르고 불규칙한 타구인 경우가 많습니다. 넓은 수비 범위를 커버해야 하고 강하고 정확한 송구도 필요해서 어려운 타구라고 평가됩니다.
더 알아보기 👆
반응형
그리드형
생활의 달인 요잇땅입니다. 생활정보, 스포츠, 낚시 관련 궁금한 사항을 실시간으로 해결해드립니다. '대화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지금 바로 연락해보세요. 대화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