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 프로스포츠 중 유일하게 K리그에만 시민구단이 있는데 시민구단이 1~2개 팀도 아니고 K리그1,2합쳐서 26개 팀 중 14개 팀이 시민구단인데 왜 K리그에만 시민구단이 존재하며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으로 왜 수십명에게 억대 연봉을 줘야하며 그리고 그것이 왜 꼭 축구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K리그에만 시민 구단이 있는건가요?
우리나라 프로 스포츠를 보면 K리그(축구)에 유독 '시민 구단'이라는 이름의 팀들이 많이 있습니다. K리그1과 K리그2를 합쳐서 절반 이상이 시민 구단이라고 하는데요. 다른 프로 스포츠에는 거의 없는 시민 구단이 왜 K리그에만 이렇게 많은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이 팀들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축구 종목 특성상 '강등제'가 필요해서 팀이 많습니다
왜 K리그에 시민 구단이 많을까 하는 질문에 대한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축구라는 종목의 특성 때문입니다. 국제 축구 연맹인 FIFA에서는 축구 리그를 운영할 때 '승강제(강등제)'를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1부 리그와 2부 리그 사이에 팀들의 성적에 따라 다음 시즌에 서로 리그를 바꿔 뛰는 제도입니다.
승강제를 제대로 운영하려면 최소한 1부 리그와 2부 리그가 존재해야 하고, 각 리그에 충분한 숫자의 팀들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축구단을 운영하려는 기업체의 수가 승강제를 운영하기에 필요한 전체 팀 숫자보다 절대적으로 부족했습니다.
기업 구단 부족분을 '지자체 지원' 시민 구단으로 채웠습니다
기업들이 충분히 축구단을 만들지 않는 상황에서 승강제 기반의 리그를 만들려면, 부족한 팀 숫자를 다른 방식으로 채워야 했습니다. 여기서 바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해졌습니다.
정부 측에서도 축구 발전을 위해 리그 팀 수를 늘리는 것을 권고하고 지원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주체가 되어 '시민 구단'을 창단하게 된 것입니다. 시민 구단은 해당 지역의 시민들이 주인이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보조금)으로 운영되는 팀입니다.
결론적으로 K리그에 시민 구단이 많은 이유는 축구의 승강제 운영을 위해 필요한 팀 수에 비해 기업 구단 수가 부족했고, 그 부족분을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는 시민 구단이 채워야 했기 때문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국 경제 규모나 축구 시장의 크기에 비해 리그 전체 팀 수가 많아지면서 생기는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시민 구단 선수 연봉, 기업 구단보다 낮은 편입니다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시민 구단 선수들이 억대 연봉을 받는다는 점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물론 수천만 원에서 억대에 이르는 연봉이 적은 돈은 아닙니다. 하지만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시민 구단 소속 선수들의 평균적인 연봉 수준은 기업체가 소유한 구단의 선수들에 비해 절반 이하 수준에 불과합니다.
기업 구단은 모기업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더 많은 연봉과 이적료를 선수들에게 줄 수 있는 구조이지만, 시민 구단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지원에 의존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기업 구단만큼 많은 연봉을 주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억대 연봉을 받는 선수도 있겠지만, 팀 전체적으로 봤을 때 연봉 수준은 기업 구단보다 낮은 편입니다.
'왜 꼭 축구여야 하는가'라는 질문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축구 종목 자체가 승강제를 통해 리그 규모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축구계에서는 구단이 많을수록 더 많은 선수에게 기회가 가고 경쟁이 활발해져 축구 발전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각 지역의 시장, 도지사, 군수 같은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의지가 더해져 시민 구단 창단이 추진되었습니다. 지역의 이름을 건 프로 구단은 지역 홍보 효과나 시민들의 자긍심 고취에도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자체장의 의지는 지방의회의 승인을 거쳐 실제 시민 구단 창단으로 이어집니다.
결론적으로 K리그에 시민 구단이 많은 것은 축구 종목의 특성, 기업 구단의 부족, 축구 발전 및 지역 활성화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의지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K리그 시민 구단의 배경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K리그 시민 구단이나 운영 방식에 대해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거나, 오늘 이야기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이 있다면 아래 댓글로 편하게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주세요. 다른 축구 팬분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면 더 즐거울 것 같습니다! 이 글이 흥미로우셨다면 주변 축구 좋아하시는 친구나 지인분들에게도 공유해 주세요!
댓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