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에서 선발 투수가 7회 말까지 딱 마운드를 지키고 내려갔는데, 그때까지 점수가 1대1 동점이었다고 칠 때 그 투수가 던지고 난 다음인 8회 초에 우리 팀이 점수를 뽑아내서 역전을 했다면 7회까지 던진 그 선발 투수가 '선발승'을 기록하는 건가요?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야구 승리투수 요건 좀 알려주세요.

야구 승리투수 요건
네 맞아요. 선발승이 됩니다. 그런 상황에서는 7회까지 던졌던 그 선발 투수가 승리 투수가 됩니다
야구에서 선발 투수가 승리 투수가 되려면 몇 가지 조건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팀이 리드하고 있을 때 마운드에 있었어야 한다' 겁니다.
7회 말까지는 1대1 동점이었지만, 8회 초에 우리 팀이 역전을 해서 2대1로 앞서게 됐을 때 선발 투수는 7회 말에 마운드에서 내려갔지만, 야구 규칙에서는 팀이 리드를 잡는 이닝의 '초' 공격이 끝나고 '말' 수비를 시작할 때까지는 선발 투수가 마운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그러니까 8회 초에 우리 팀이 역전해서 2대1로 앞서게 된 순간, 규칙상 7회까지 던진 그 선발 투수는 여전히 마운드에 있는 것으로 보는 거죠. 그리고 그 이후에 다른 투수로 교체되더라도, 팀이 그 리드를 끝까지 지켜서 경기를 이기면 선발 투수에게 승리가 돌아가는 겁니다.
근데 중요한 게 있습니다. 그게 뭐냐면 우리 팀이 역전해서 리드를 잡은 후에, 상대 팀에게 다시 동점을 허용하거나 역전을 당하면 그때는 선발 투수의 승리 조건이 없어진다는 겁니다.
뭐 예를 들어서 8회 초에 2대1로 역전한 뒤에, 우리 팀이 9회 말까지 2대1 리드를 지켜서 경기를 이겼다면, 7회까지 던진 선발 투수가 선발승을 가져가게 되는 거죠!
선발 투수가 승리 투수가 되려면 보통 5회 이상 던져야 한다는 규칙도 있긴 한데, 7회까지 던졌다면 이 조건은 충분히 채운 셈입니다.
야구 규칙, 알면 알수록 재밌죠? ㅎ 다음번에 경기 보실 때 투수 승리 조건 생각하면서 보시면 더 재밌으실 겁니다!
댓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