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OPS는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타율, 출루율, 장타율은 직관적인데 OPS는 어렵네요

반응형

요즘 야구 전광판을 보면 타율 대신 OPS만 나와서 아직은 좀 익숙하지가 않네요.타율 0.500은 한 타석당 절반 확률로 안타를 친다는 뜻, 출루율 0.500은 한 타석당 절반 확률로 출루한다는 뜻, 장타율 1.000은 한 타석당 평균 1루타 가치를 생산한다는 식으로 보면 직관적인데, 출루율 + 장타율로 계산하는 OPS는 솔직히 직관적으로 이해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서 OPS가 1.000이면, "한 타석당 평균 1루타 가치의 출루+장타를 만든다"는 뜻일까요? 혹은 "4타석 동안 평균 1홈런의 가치 있는 출루+장타를 만든다" 정도로 생각하면 될까요? OPS는 어떻게 이해하면 좀 더 쉽게 감이 올까요?

야구 OPS는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타율, 출루율, 장타율은 직관적인데 OPS는 어렵네요

야구 OPS는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타율, 출루율, 장타율은 직관적인데 OPS는 어렵네요

요즘 야구 중계를 보실 때 선수들 기록 중에 'OPS'라는 수치가 나오는 것을 자주 보실 겁니다. 타율, 출루율, 장타율은 숫자를 보면 대략 어떤 의미인지 감이 오는데, OPS는 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한 수치라고는 하지만 숫자가 높고 낮음에 따라 선수의 능력을 어떻게 파악해야 할지 조금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OPS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알려드리겠습니다.

OPS는 '출루율 + 장타율'입니다.

OPS는 영어 On-base Plus Slugging의 줄임말입니다. 우리말로는 '출루율 + 장타율'입니다. 타자의 공격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기록 중 하나입니다.

  • 출루율: 타자가 타석에 들어섰을 때 안타, 볼넷, 몸에 맞는 공 등으로 1루에 살아나가는 비율입니다. 높을수록 타석에서 아웃되지 않고 베이스를 밟을 확률이 높다는 뜻입니다.
  • 장타율: 타자가 타석당 몇 개의 베이스를 밟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단타, 2루타, 3루타, 홈런 등 안타의 종류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계산하며, 높을수록 장타를 많이 쳐서 많은 베이스를 얻어낸다는 뜻입니다.

OPS는 직관적인 '평균'으로 해석하기 어렵습니다.

타율이나 출루율, 장타율처럼 OPS를 '한 타석당 평균 얼마의 가치를 생산한다'는 식으로 직관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시는 마음은 충분히 공감됩니다. 하지만 OPS는 성격이 다른 출루율과 장타율을 단순히 더한 수치이기 때문에, 타율처럼 '몇 타석에 몇 번 안타를 친다'거나 장타율처럼 '타석당 평균 몇 루타의 가치'를 생산한다는 식으로 직관적인 '평균적인 의미'로 해석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서로 다른 비율을 합쳐놓은 것이라서, OPS 수치 자체를 보고 '한 타석당 평균 1루타 가치의 출루+장타를 만든다'거나 '4타석 동안 평균 1홈런의 가치 있는 출루+장타를 만든다'고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OPS 수치로 선수의 '능력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OPS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OPS는 수치 자체를 직관적인 평균으로 해석하기보다는, 그 수치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타자의 공격 능력이 어느 수준인지 개략적으로 파악하는 데 활용됩니다.

일반적으로 OPS 수치에 따라 선수의 능력 수준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기도 합니다.

  • 0.9 이상: MVP 레벨의 뛰어난 타자
  • 0.8 이상: 올스타 레벨의 좋은 타자
  • 0.7 이상: 확고부동한 주전급 타자
  • 0.6 이상: 주전으로 나오기 어려운 수준의 타자

메이저리그에서는 오타니 선수나 저지 선수처럼 OPS가 1.0을 훌쩍 넘기는 선수들도 있는데, 이 정도면 정말 대단한 '슈퍼맨급' 타자라고 평가합니다. 하지만 일본처럼 투수들의 성적이 더 좋은 '투고타저' 성향이 강한 리그에서는 이 기준이 조금 낮아지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OPS는 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한 수치로, 타자의 공격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기록입니다. 타율처럼 직관적인 평균으로 해석하기는 어렵지만, OPS 수치가 높을수록 공격 능력이 뛰어난 타자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제시된 기준들을 참고하여 선수의 OPS를 보면 그 선수의 공격력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OPS에 대해 궁금했던 점이 조금 풀리셨나요? 혹시 좋아하는 선수의 OPS 기록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기셨거나, OPS에 대한 다른 이야기가 있다면 댓글로 자유롭게 이야기 들려주세요!

이 글이 야구 기록 OPS의 뜻과 이해 방법에 대해 궁금해하는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다면 주변 분들과 자유롭게 공유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야구 기록 OPS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OPS 수치에 따라 타자의 능력 수준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하던데, 어떤 기준으로 보나요?
OPS 수치에 따라 MVP 레벨(0.9 이상), 올스타 레벨(0.8 이상), 확고부동한 주전급(0.7 이상) 등으로 개략적인 선수 능력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OPS는 타자의 어떤 능력을 보여주는 기록인가요?
OPS는 타자가 얼마나 자주 베이스에 나가고(출루율), 얼마나 멀리 공을 보내서 많은 베이스를 얻어내는지(장타율)를 합쳐서 보여주므로, 타자의 종합적인 공격 생산력을 나타냅니다.
OPS 외에 타자의 공격력을 평가하는 다른 중요한 기록들은 무엇이 있나요?
타율, 출루율, 장타율 외에도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등 다양한 기록들이 타자의 공격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OPS 수치만 보고 타율처럼 '몇 타석에 몇 번 안타를 친다'는 식으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나요?
아니요, OPS는 성격이 다른 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한 수치라서 타율처럼 직관적인 '평균적인 의미'로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OPS 수치에 따른 선수 능력 기준이 리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셨는데, 어떤 경우에 기준이 하향되나요?
투수들의 성적이 더 좋은 '투고타저' 성향이 강한 리그에서는 OPS 기준이 하향될 수 있다는 내용은 글 본문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OPS가 영어 'On-base Plus Slugging'의 줄임말이라고 하셨는데, 각 알파벳이 어떤 단어를 의미하는지 궁금해요.
OPS를 구성하는 영어 단어들에 대한 내용은 이 블로그 글 본문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OPS 수치는 높을수록 좋은 건가요, 아니면 낮을수록 좋은 건가요?
OPS 수치는 높을수록 공격 능력이 뛰어난 타자라고 평가합니다.
야구 기록 'OPS'는 무엇을 의미하는 수치인가요?
OPS는 타자의 '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한 수치로, 타자의 공격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기록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더 알아보기 👆
생활의 달인 요잇땅입니다. 생활정보, 스포츠, 낚시 관련 궁금한 사항을 실시간으로 해결해드립니다. '대화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지금 바로 연락해보세요. 대화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