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경기 하이라이트를 보다가 선수들이 배트를 가로로 들고 있는 장면을 가끔 보게 되는데, 선수들이 그렇게 배트를 잡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야구선수가 갑자기 가로로 방망이를 잡는 이유는?
야구에서 선수들이 배트를 가로로 잡고 공을 살짝 맞추는 거를 보신건가요? 그거를 번트라고 합니다. 보통 힘껏 배트를 휘둘러서 공을 멀리 보내는 '스윙'과는 다른 기술이에요. 번트는 공을 강하게 치는 대신, 배트에 살짝 대서 공이 내야 안쪽에 느리게 굴러가도록 하는 타격 스킬입니다.
그럼 왜 번트를 할까요?
번트의 주된 목적은 주자를 다음 베이스로 보내려고 하는 건데요. 이게 번트를 댄 타자는 아웃될 가능성이 높지만, 그 사이에 1루나 2루에 있던 주자가 2루나 3루로 한 칸 더 안전하게 보낼 시간을 버는 겁니다. 이걸 '희생 번트'라고 하는데, 타자는 자신의 타수 기록을 희생하더라도 팀의 득점 기회를 높이는 중요한 작전입니다.
번트는 주로 경기 후반에 점수가 필요한 상황이나, 주자가 1루나 2루에 있을 때 많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무사 주자 1, 2루 상황에서 번트가 성공하면 1사 주자 2, 3루가 되어서 다음 타자가 안타나 짧은 플라이만 쳐도 쉽게 점수를 낼 수 있게 되는 거죠. 경기 초반보다는 경기 후반에 더 자주 볼 수 있는 작전입니다. 확실하게 1점이라도 더 얻으려는 몸부림이랄까요..
물론 간혹 번트를 대서 타자 본인이 직접 1루까지 살아나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걸 '기습 번트' 또는 '번트 안타'라고도 부릅니다. 이정후 선수의 3루 번트 안타 동영상이 있었는데 하나 찾아서 올려드릴게요. 한 번 봐보세요.
정말 멋지죠? 그러니까 하이라이트에서 선수들이 배트를 가로로 잡는 모습은 '번트'라는 타격 기술을 시도하는 장면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야구의 이런 다양한 전략들을 알아가는 것도 큰 재미일 겁니다. ㅎㅎ
댓글 개